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Tags
- 스프링부트 구조
- 비즈니스 계층
- 세션기반 인증
- JWT
- 스프링부트 계층구조
- http
- 어노테이션
- 퍼시스턴스 계층
- 동기
- 비동기
- 스프링
- Java
- ./gradlew docker
- 로그인 인증 흐름
- ./gr
- 토큰기반 인증
- 작업명중복
- formmatted
- ORM
- spring
- 스프링부트
- 프레젠테이션 계층
- RESTfull API
- 로그인/로그아웃
- java I/O
- @temproal
- JPA
- IPC
- MSA
- 스프링 부트 테스트
Archives
- Today
- Total
[DEV] J-Jay
스프링 부트 테스트 코드 (2) - AssertJ 본문
728x90
AssertJ
AssertJ는 JUnit과 함께 사용해 검증문의 가독성을 높여주는 라이브러리이다.
이를테면 앞서 작성한 테스트 코드의 Assertion은 기대값과 실제 비교값이 명시하지 않으므로 비교 대상이 헷갈린다.
https://dev-junick.tistory.com/46
스프링 부트 테스트 코드 (1) - JUnit
테스트 코드 테스트 코드는 작성한 코드가 의도대로 잘 동작하고 예상치 못한 문제가 없는지 확인할 목적으로 작성하는 코드이다. 테스트 코드는 test 디렉터리에서 작업한다. 테스트 코드에도
dev-junick.tistory.com
기댓값과 비교값이 잘 구분되지 않는 예시
Assertions.assertEquals(a + b, sum);
큰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조금 더 명확한 모습의 코드가 실수를 줄일 수 있어 이런 가독성은 꽤 중요한 문제이다. 하지만 이럴 때 AssertJ를 사용하면 가독성이 더 좋아진다.
가독성이 좋은 AssertJ 예시
assertThat(a + b).isEqaulTo(sum);
위의 코드의 경우 a와 b를 더한 값이 sum과 같아야 한다는 의미로 명확하게 읽히기에 가독성이 좋다고 할 수있다.
AsserJ에는 값이 같은지 비교하는 isEqaulTo(), isNotEqualTo() 외에도 다양한 메서드를 제공한다.
자주 사용하는 메서드는 아래와 같다.
메서드 | 설명 |
isEqualTo(A) | A 값과 같은지 검증 |
isNotEqualTo(A) | A 값과 다른지 검증 |
contains(A) | A 값을 포함하는지 검증 |
doesNotContain(A) | A 값을 포함하지 않는지 검증 |
startsWith(A) | 접두사가 A인지 검증 |
endsWith(A) | 접미사가 A인지 검증 |
isEmpty() | 비어있는 값인지 검증 |
isNotEmpty() | 비어있지 않은 값인지 검증 |
isPositive() | 양수인지 검증 |
isNegative() | 음수인지 검증 |
isGreaterThan(1) | 1보다 큰 값인지 검증 |
isLessThan(1) | 1보다 작은 값인지 검증 |
'Back-end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 부트 ORM (1) (0) | 2023.09.03 |
---|---|
스프링 부트 테스트 코드 (3) (0) | 2023.09.02 |
스프링 부트 테스트 코드 (1) - JUnit (0) | 2023.09.02 |
스프링 부트 계층 파악하기 (0) | 2023.09.02 |
스프링 부트 구조 (1) | 2023.09.02 |